[4차산업행정뉴스=4차산업행정뉴스기자] '이태원 압사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 중인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2일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 8곳에 대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특수본은 이날 오후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서울종합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서울교통공사, 다산콜센터, 이태원역 등에 수사 인력을 보내 참사 당일 112 신고 관련 자료와 핼러윈 경비 계획 문건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 중에서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과 용산경찰서 112치안상황실, 용산경찰서 정보과 등이 중점 수사 대상이다.
경찰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강제수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수본은 압수수색 자료를 통해 참사 전 4시간여 동안 11건의 신고를 받은 담당 경찰관들이 직무상 책임을 다했는지, 신고 상황을 전파받은 각급 지휘관과 근무자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등을 살펴볼 계획이다.
경찰청이 1일 공개한 참사 발생 전 11건의 신고 녹취록에 따르면 경찰은 '압사' 등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는 구체적인 신고에도 경비인력을 늘리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이 신고를 받은 뒤 용산경찰서 112치안상황실에 하달했는데 11건의 신고 중 현장출동은 단 4건에 그쳤다.
특수본은 11건의 신고를 받고도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가 인파 해산이나 경력 증원 등의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은 이유 등을 캐물을 예정이다.
또 핼러윈을 관리할 경찰력 투입 계획 등 전반적 준비 상황을 확인해 사고 당일 용산경찰서가 취한 안전관리 조치의 적절성도 살펴볼 예정이다.
용산경찰서가 핼러윈을 앞두고 기동대 경력 지원을 요청했지만 서울경찰청이 거부했다는 의혹도 파헤칠 것으로 보인다. 용산구청에 대해선 구청장실과 안전재난과 등 관련 부서의 자료를 확보 중이다.
참사 사흘 전인 지난달 26일 용산구청이 경찰서와 이태원역 등과 '핼러윈 안전대책 간담회'를 하고도 적절한 인원 안전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는 의혹을 살펴보기 위해서다. |